Computer Science
-
TCP의 혼잡제어Computer Science/Network 2020. 10. 6. 02:47
혼잡제어 : 송신측의 데이터 전달과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혼잡제어 - AIMD(Additive Increase / Multicative Decrease), - Slow Start, - Fast Retransmit(빠른 재전송), - Fast Recovery(빠른 회복) 혼잡 방지 알고리즘 - TCP 타호와 TCP 리노 - TCP 베이거스 배경 - 각 호스트는 보낼 수 있는 최대의 패킷을 보내고 일부 라우터는 정해진 시간내에 받은 패킷을 처리하지 못했다 정해진 시간내에 패킷이 처리되지 못하면 호스트는 패킷을 재전송하였고, 라우터는 더 많은 패킷을 받게되어 혼잡현상이 더 심해졌다. TCP 혼잡제어는 보내는 측에서 네트워크 수용량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. 네트워크 수용량..
-
TCP의 흐름제어, 오류제어Computer Science/Network 2020. 10. 3. 18:44
송신자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수신자의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느릴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. 그러나 송신자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수신자의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빠를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수신자가 데이터를 아직 처리하지 못했는데, 송신자는 계속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. 물론 이런 경우를 대비해 수신자는 버퍼를 마련해서 데이터를 차곡차곡 저장한다. 그런데 만약 이 큐를 꽉 채우고도 남을 정도로 송신자가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어떨까? 그러면 그냥 그대로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것이다. 그래서 우리는 데이터 손실을 없애야 한다 => 이를 위해 수신자가 자신의 상태를 송신자에게 알린다. 흐름제어 :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혼잡제어 : 송신측의 데이터..
-
로드밸런서(Load Balancer)란??Computer Science/Network 2020. 9. 30. 23:22
- 동시에 수천만의 사용자가 하나의 서버에 요청을 한다면 서버가 다운될 수 있다. 두 가지 해결방법 존재 서버의 성능을 올리던가 = Scale-up 여러대의 서버를 둬서 나눠서 일을 하던가 = Scale-out Load Balancing이란? -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여러 대의 서버가 분산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, 부하량, 속도저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처리하여 해결해주는 서비스 * 사전 개념* 네트워크 구조에 상관없이 개방형으로 통신할 수 있는 국제 표준 모델이 OSI 7layer입니다. L1~ L7 까지 나뉘어져있고 L4 장비 등의 말이 여기서 유래된 것입니다. L1 은 '랜선' 등의 장비를 의미하는 것이고 L2는 'Mac address', L3는 'IP'를 의미한..